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보건증 인터넷발급 방법 및 재발급, 유효기간과 검사항목

by ◈&◈ 2023. 6. 15.

음식점 종사자 혹은 식품 관련 일을 하시는 분들은 보건증 발급이 필수입니다. 예전에는 보건증을 발급받기 위해서 검사를 받았던 보건소나 병원에 직접 방문해야 했습니다.

 

하지만 요즘에는 보건증을 인터넷으로도 발급할 수 있습니다. 이번에는 보건증을 인터넷으로 발급하는 방법 및 재발급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보건증을 인터넷으로 발급하려면 우선 가까운 보건소나 병원에 가서 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보건증 발급 비용은 대개 3천 원 정도입니다. 근처 보건소나 병원에 먼저 문의해 보고 가시기를 권장드립니다.

 

  • 보건증 인터넷발급
  • 보건증 인터넷발급 재발급 방법
  • 보건증 유효기간 및 검사항목

 

보건증 인터넷발급

 

 

 

보건증 인터넷발급 재발급 방법

보건소나 병원에서 검사를 받고 보통 3일 ~ 일주일 정도의 시간이 걸리게 됩니다. 보건증 검사를 통해 별다른 이상이 없다면 쉽게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보건증 인터넷발급을 위해서는 공공보건포털이란 사이트에 접속해야 합니다. 아래 링크를 통해 공공보건포털에 바로 접속하거나 인터넷 검색을 통해 접속해 줍니다.

 

 

 

공공보건포털에 접속하게 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여기서 아래로 조금만 내려보면 '증명 문서 발급' 메뉴에 '건강진단결과서(구 보건증)'가 있습니다. 눌러주세요.

 

보건증 인터넷발급
보건증 인터넷발급

 

들어가면 정보동의 및 본인인증을 해야 합니다. 동의 후 간단한 본인인증을 완료하시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보건증 인터넷출력
보건증 인터넷출력

 

여기서 보건증에 표시될 자신의 주민번호 뒷자리가 나오게 할 것인지 체크한 다음 용도를 적어주시면 됩니다. 보건증 용도는 회사 제출 정도로 적어주시면 됩니다.

 

그럼 아래와 같이 보건증을 인터넷발급 할 수 있는 화면이 나오게 됩니다. 접수일자, 보건소명, 판정유무 등이 나오고 발급신청 칸에서 '발급받기'를 눌러 주시면 PDF 파일이 열리게 됩니다.

 

보건증 인터넷 재발급
보건증 인터넷 재발급

 

보건증을 인터넷발급 하게 되면 PDF 파일로 컴퓨터에 저장할 수 있으며, 이를 출력할 수 있게 됩니다. 보건증 재발급도 마찬가지로 동일한 방법으로 진행하시면 됩니다.

 

보건증 유효기간 및 검사항목

보건증 유효기간은 일반적으로 1년입니다. 보통 음식점 및 요식업 관련 종사자들에 해당합니다. 다만 학교 급식소에서 일하는 경우 보건증 유효기간은 6개월입니다. 즉 1년에 두 번 보건증을 발급받아야 합니다.

 

보건증 유효기간 참고하셔서 기간이 넘지 않게 신경 쓰시는 게 좋습니다. 보건증 유효기간을 깜빡하고 발급받지 않는다면 10만 원의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직원들의 50% 이상 보건증이 없을 경우, 업주에게도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5인 미만 사업장은 30만 원, 5인 이상 사업장은 50만 원의 과태료가 부과되고, 심하면 영업정지 혹은 영업취소까지 당할 수 있으니 주의하시는 게 좋습니다.

 

보건증 검사항목은 장티푸스, 결핵, 전염성 피부질환 3가지입니다. 각각 면봉으로 항문 검사, x-ray 검사, 손 검사입니다. 보통은 항문 검사와 x-ray 검사만 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지금까지 보건증 인터넷발급 및 재발급 방법, 보건증 유효기간 및 검사항목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추천 글